[이슈]"안 막냐 못 막냐" 가요계, 암표와의 전쟁
작성자 정보
- 벳프리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06 조회
- 목록
본문
[이슈]"안 막냐 못 막냐" 가요계, 암표와의 전쟁
가요계가 암표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암표는 공연계에서 늘 골칫덩이다. 무분별하게 사고 팔다 보니 막고 싶지만 막을 수 없는 영역처럼 여겼다.
아티스트들이 먼저 나섰다. 장범준·성시경·임영웅·아이유 등 공연에서도 대형 팬덤을 지닌 가수들이 각자만의 방법으로 암표 근절을 위해 노력 중이다.
먼저 장범준은 소극장 공연의 표가 수십배 비싸게 거래되는 정황을 보고 공연을 취소했다. 극단적일 수 있지만 그만큼 암표에 대한 심각성을 높게 봤기에 내린 결정이다.
성시경은 매니저가 직접 암표 거래를 적발하는 등 앞장서는 모습을 보였고 아이유는 공연 티켓을 1인 1매 구입으로 제한하거나 부정거래가 확인된 회원에 대해선 팬클럽에서 영구제명했다.
임영웅도 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다. 암행어사 제도를 운영해 암표를 적발하면 포상으로 그 표를 주는 방식도 생겨났다. 그럼에도 임영웅의 콘서트 티켓이 최고가 500만 원까지 오르는가 하면 '가황' 나훈아의 마지막 콘서트 역시 암표 거래상들에게 노출된 현실이다.
각 부처들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공연법을 시행해 공연과 스포츠 분야 암표 근절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수사 기관과 지속적인 단속도 나서겠다는 방침도 전했다. 그 동안은 온라인을 통한 가수 등의 공연 암표 거래를 제재할 법 규정이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였다. 적발이 되더라도 20만 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 또는 과료와 같이 가벼운 처벌이다.
시류에 맞춰 법조계도 변화에 동참했다. 개정 공연법을 앞세웠다. 지난해 국회에서 통과된 '입장권등의 부정판매 금지 등' 조항 개정안이 지난 22일부터 시행됐다. 개정된 조항은 '정보통신망에 주문 명령을 자동으로 반복 입력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입장권 등을 부정 판매한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내용이다.
아티스트들의 의지와 법적 효력까지 더해져 기대 효과가 큰 부분이다. 하지만 실효성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의견도 나뉘고 있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암표상은 줄일 수 있어도 암표판매 자체를 없애기는 어려울 수 있다"며 "조항을 풀이해보면 매크로로 예매된 표로 한정된 듯 규정돼ㅈ있어 애매함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 공연 관계자는 "매크로로 의심되는 접근은 차단하고 있지만 기술도 그만큼 발전하다보니 사실상 자체적으로 매크로를 걸러내기 어렵다. 매크로 뿐만 아니라 대리 티켓팅, 오프라인에서 웃돈을 주고 파는 행위 등 다수의 수법이 있어 모든 걸 통제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예매처의 책임 강화와 구매자와 판매자의 자정작용 역시 중요한 상황. 일각에서는 여전히 막대한 웃돈을 더한 암표들이 거래되고 있지만 중고거래 사이트에서는 '암표 사지 맙시다' 등의 글이 올라오며 암표상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물론 여전히 갈 길은 멀다. 그럼에도 방관만 하던 과거를 지나 암표 근절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은 노력은 고무적이다. 작은 변화가 쌓여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암표는 공연계에서 늘 골칫덩이다. 무분별하게 사고 팔다 보니 막고 싶지만 막을 수 없는 영역처럼 여겼다.
아티스트들이 먼저 나섰다. 장범준·성시경·임영웅·아이유 등 공연에서도 대형 팬덤을 지닌 가수들이 각자만의 방법으로 암표 근절을 위해 노력 중이다.
먼저 장범준은 소극장 공연의 표가 수십배 비싸게 거래되는 정황을 보고 공연을 취소했다. 극단적일 수 있지만 그만큼 암표에 대한 심각성을 높게 봤기에 내린 결정이다.
성시경은 매니저가 직접 암표 거래를 적발하는 등 앞장서는 모습을 보였고 아이유는 공연 티켓을 1인 1매 구입으로 제한하거나 부정거래가 확인된 회원에 대해선 팬클럽에서 영구제명했다.
임영웅도 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다. 암행어사 제도를 운영해 암표를 적발하면 포상으로 그 표를 주는 방식도 생겨났다. 그럼에도 임영웅의 콘서트 티켓이 최고가 500만 원까지 오르는가 하면 '가황' 나훈아의 마지막 콘서트 역시 암표 거래상들에게 노출된 현실이다.
각 부처들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공연법을 시행해 공연과 스포츠 분야 암표 근절 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수사 기관과 지속적인 단속도 나서겠다는 방침도 전했다. 그 동안은 온라인을 통한 가수 등의 공연 암표 거래를 제재할 법 규정이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였다. 적발이 되더라도 20만 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 또는 과료와 같이 가벼운 처벌이다.
시류에 맞춰 법조계도 변화에 동참했다. 개정 공연법을 앞세웠다. 지난해 국회에서 통과된 '입장권등의 부정판매 금지 등' 조항 개정안이 지난 22일부터 시행됐다. 개정된 조항은 '정보통신망에 주문 명령을 자동으로 반복 입력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입장권 등을 부정 판매한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내용이다.
아티스트들의 의지와 법적 효력까지 더해져 기대 효과가 큰 부분이다. 하지만 실효성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의견도 나뉘고 있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암표상은 줄일 수 있어도 암표판매 자체를 없애기는 어려울 수 있다"며 "조항을 풀이해보면 매크로로 예매된 표로 한정된 듯 규정돼ㅈ있어 애매함이 있다"고 내다봤다.
한 공연 관계자는 "매크로로 의심되는 접근은 차단하고 있지만 기술도 그만큼 발전하다보니 사실상 자체적으로 매크로를 걸러내기 어렵다. 매크로 뿐만 아니라 대리 티켓팅, 오프라인에서 웃돈을 주고 파는 행위 등 다수의 수법이 있어 모든 걸 통제하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예매처의 책임 강화와 구매자와 판매자의 자정작용 역시 중요한 상황. 일각에서는 여전히 막대한 웃돈을 더한 암표들이 거래되고 있지만 중고거래 사이트에서는 '암표 사지 맙시다' 등의 글이 올라오며 암표상을 근절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물론 여전히 갈 길은 멀다. 그럼에도 방관만 하던 과거를 지나 암표 근절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은 노력은 고무적이다. 작은 변화가 쌓여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